Saturday, July 20, 2013

지옥은 신의 부재 낭독회를 끝내고


믿음에 대해 알게된 점이 있다. 절대적인 믿음이란, 맹목적인 사랑이란 인간에게 있어서 존재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그것이 존재함을 믿어야만 한다. 그런 것이 존재할 것이라는 기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인간은 스스로의 악을 밀어내기 위해 신을 믿어야만 한다. 스스로를 구원할 수 있으리라 믿어야만 한다. 살기 위해 사랑받기 보다는, 구원 받기 위해 사랑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것이 인간이 신을 향해 품는 환상이다. 인간은 보통 스스로 구원의 주체가 될 수 없다. 
또 한가지 알게 된 것은 SF라는 장르문학의 특징이 연극과 매우 비슷하다는 점이다. 테드 창에 대해 조사하면서, 그가 한국에서의 인터뷰를 통해 SF에 대한 정의를 내린 것을 봤다. 테드 창은 SF란 과학적인 논리로 우주를 설명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쓰여진 작품이라고 했다. 그리고 작가와 독자가 동시에 '다른 세계'를 머릿속에 그려보며 '사고를 실험하는' 장르라고도 했다. '지옥은 신의 부재'는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천사의 강림과, 지옥의 존재를 증명하는 광경이 발 밑에 보이는 세계를 언어로 탄생시켰다. 그리고 강림으로 인해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서 신을 증오하게 된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해야만 하는지에 대해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래서 나는 연극이 무대에서 구현하는 그 현실과는 '약간 다른' 차원이 SF장르의 논리와 닮아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소설이 희곡으로 재탄생 하면서 무대위에 현실화된 인물들은 다양한 선택에 대해 이야기 하며, 진정한 구원이 무엇인지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인다. 나는 그 '약간 다른' 회합장으로 관객을 초대하고 싶었던 것이다. 하지만 열띤 토론이 되지 못했다. 인물이 너무 적었고, 대사는 너무 설명적이었으며, 시점또한 너무 지난 상황이었다. 
어떤 답을 얻기 위한 과정이었다. 나는 내내 닐과 동화되어 있었다. 신이 부재하는 곳인 줄 알면서도 신을 향한 사랑에 영원히 고통스러워 하는. 대상없는 사랑에 대한 딜레마. '진정한 믿음이란 본디 이런 것이'라는 작가의 마지막 문장이 사무친다. 여기가 지옥이고, 사람들은 그 구원에 대해 대상 없음을 알면서도 맹목적인 믿음을 원하는구나.
나 또한 다르지 않다는 것을. 거기다가 믿음을 시기하는 아이러니라니.


No comments:

Post a Comment